구분 | 이수학점 | 세부 | |
---|---|---|---|
석사과정 | 교과학점 | 22 학점 | 전공+공통선택(교양)+타전공일반선택 |
연구학점 | 5 학점 | 연구선택(3)+석사논문연구(2) | |
박사과정 | 교과학점 | 34 학점 | 전공+공통선택(교양)+타전공일반선택 |
연구학점 | 4 학점 | 박사논문연구1(2),박사논문연구2(2) | |
석박사통합과정 | 교과학점 | 52 학점 | 전공+공통선택(교양)+타전공일반선택 |
연구학점 | 7 학점 | 연구선택(3)박사논문연구1(2),박사논문연구2(2) |
✔ 2022학년도 ~ 현재 : 석사 27학점, 박사 38학점, 석·박사학위통합과정
59학점
✔ 2016학년도 ~ 2021학년도 : 석사 26학점, 박사 37학점, 석·박사학위통합과정
58학점
✔ 2010학년도 ~ 2015학년도 : 석사 24학점, 박사 36학점, 석·박사학위통합과정
57학점
✔ 1999학년도 ~ 2009학년도에 입학한 박사 : 최소 이수학점 60학점
✔ 1999학년도 이전에 입학한 박사 : 최소 이수학점 36학점 (다만, 개인별로
인정학점의 차이로 인해 이수학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※ 2022학년도 입학 학번부터 총 이수학점(교과학점)이 1점씩
추가되었습니다.
1. 과정별 최소 이수학점
- 법·정책 전공인 경우: 경제학 분야 및 행정‧정치학 분야의 과목을 각 3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.
- 경제‧정책 전공인 경우: 법학 분야 및 행정‧정치학 분야의 과목을 각 3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.
- 행정‧정치 전공인 경우: 법학 분야 및 경제학 분야의 과목을 3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.
전공분야 | 과목 |
---|---|
공통과목 | 합리적 의사결정 |
법정책 | 사회보장정책과법, 정책이슈의판례와법, 정책행정법, 일본정책행정법, 헌법재판과정책, 민주주의론, 헌법이론과입법정책, 민사법주요이슈와사례연구, 재산법이론과정책연구 |
경제정책 | 공공경제와공공정책, 경제정책분석론, 경제정책세미나, 미시경제이론과정책 |
정치행정 | 정책학연구방법과윤리, 사회과학조사방법론, 정책학의주요이론, 기초계량분석, 현대한국정치의분석 |
2. 필수과목
필수과목 없음
3. 선수과목